물가 상승과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인해, 2025년 상반기 현재 정기예금 금리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. 특히, 예금은 원금이 보장되며 복잡한 투자 지식 없이도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, 초보 재테크 수단으로 여전히 사랑받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4월 기준 고금리 예금 상품 TOP 5를 은행별로 비교하고, 예금 기간·우대조건 등 실질 수익률을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.
1. 토스뱅크 정기예금 (12개월)
금리: 연 4.30% (세전)
- 가입 대상: 개인 누구나
- 최소 가입금액: 1만 원
- 우대조건 없음, 기본금리 100% 적용
조건 없이 고금리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상품으로, 간편한 모바일 가입이 장점입니다.
2. 카카오뱅크 정기예금 (12개월)
금리: 연 4.10% (세전)
- 가입 대상: 개인, 모바일 앱 사용자
- 우대조건 없이 기본금리 제공
- 자동이체 설정 시 금리 유지 가능
UI가 직관적이며, 모바일 기반 사용자에게 적합한 예금 상품입니다.
3. 우리은행 WON예금 특판 (6개월)
금리: 연 4.50% (세전)
- 특판 상품으로 한시적 판매
- 비대면 가입 시 금리 우대 가능
- 가입 한도: 1인당 5,000만 원
단기 운용 목적에 적합하며, 특판 상품 특성상 조기 마감 주의가 필요합니다.
4.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 (12개월)
금리: 연 4.00% + 우대금리 최대 0.2%
- 우대조건: 급여이체, 자동이체, 신용카드 이용
- 최대 연 4.20%까지 가능
- 은행 방문 또는 모바일 앱 가입 가능
기본금리는 낮지만, 조건을 충족하면 경쟁력 있는 금리로 상승합니다.
5. 부산은행 BNK e-정기예금
금리: 연 4.20% (세전)
- 인터넷/모바일 전용 상품
- 가입금액: 10만 원 이상
- 비수도권 고객에게 인기 높음
지방 거주자나 지역은행 선호 고객에게 유리한 조건입니다.
고금리 예금 비교표 (2025년 4월 기준)
은행명 | 상품명 | 금리(세전) | 예금 기간 | 우대 조건 |
---|---|---|---|---|
토스뱅크 | 정기예금 | 4.30% | 12개월 | 없음 |
카카오뱅크 | 정기예금 | 4.10% | 12개월 | 없음 |
우리은행 | WON예금 특판 | 4.50% | 6개월 | 비대면 가입 |
하나은행 | 하나의 정기예금 | 최대 4.20% | 12개월 | 급여이체 등 |
부산은행 | e-정기예금 | 4.20% | 12개월 | 없음 |
마무리 요약
2025년 현재, 정기예금 금리는 연 4%를 넘는 고금리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. 그만큼 예금을 활용한 재테크 전략은 더 이상 보수적이지 않으며, 우대조건 없이도 4% 이상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
예금을 선택할 때는 단순 금리뿐 아니라 예금 기간, 유동성, 가입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, 모바일 전용 상품은 간편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👉 다음 글에서는 2025년 적금 추천 TOP 5를 소개합니다.
※ 본 정보는 2025년 4월 기준이며, 각 은행의 상품 및 금리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가입 전 반드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